728x90
1. 가상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법이다.
- 주기억장치 용량이 작더라도 가상기억장치를 통해 큰 용량처럼 사용 가능하다.
2. 블록 분할 방법
(1) 페이징 (Paging) 기법
- 가상기억장치를 같은 크기의 블록(페이지)으로 나누어 운용하는 기법이다.
- 외부 단편화는 발생하지 않으나, 내부 단편화는 발생한다.
- 페이지와 메모리 영역 구분
- 페이지 크기별 비교
페이지 크기 | 기억장소 효율 | 단편화 | 입출력 시간 | 맵 테이블 |
클수록 | 감소 | 증가 | 감소 | 감소 |
작을수록 | 증가 | 감소 | 증가 | 증가 |
(2) 세그멘테이션 (Segmentation) 기법
- 가상 메모리를 크기가 다른 논리적 단위(세그먼트)로 분할하여 메모리를 할당하는 기법이다.
- 세그먼트 테이블을 참조하여 주소 변환을 수행한다.
- 내부 단편화는 발생하지 않으나, 외부 단편화는 발생한다.
- 세그멘테이션 기법 주소 변환
순서 | 설명 |
1 | 가상 주소의 변위값과 세그먼트 크기 비교 |
2 | 변위값이 작거나 같으면 기준 번지와 변위값을 더해 주기억장치에 접근 |
3 | 변위값이 크면 다른 영역을 침범하므로 실행 권한을 운영체제에 넘기고 트랩 발생 |
- 아래 세그먼트 테이블에서 S=(2,100)의 실제 주소는 2100이다.
세그먼트 번호 | 크기 | 시작 주소 |
0 | 1200 | 4000 |
1 | 800 | 5700 |
2 | 1000 | 2000 |
3 | 500 | 3200 |
728x90
'CS > Operating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프로세스(Process)란? (2) | 2025.03.26 |
---|---|
[운영체제][정보처리기사] 인터페이스 구현 (2)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