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CS/Operating System

[운영체제] 가상기억장치란? 1. 가상기억장치보조기억장치(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법이다.주기억장치 용량이 작더라도 가상기억장치를 통해 큰 용량처럼 사용 가능하다.2. 블록 분할 방법(1) 페이징 (Paging) 기법가상기억장치를 같은 크기의 블록(페이지)으로 나누어 운용하는 기법이다.외부 단편화는 발생하지 않으나, 내부 단편화는 발생한다.페이지와 메모리 영역 구분페이지 크기별 비교페이지 크기기억장소 효율단편화입출력 시간맵 테이블클수록감소증가감소감소작을수록증가감소증가증가 (2) 세그멘테이션 (Segmentation) 기법가상 메모리를 크기가 다른 논리적 단위(세그먼트)로 분할하여 메모리를 할당하는 기법이다.세그먼트 테이블을 참조하여 주소 변환을 수행한다.내부 단편화는 발생하지 않으나, 외부 단편화는 발생한다.세.. 더보기
[운영체제] 프로세스(Process)란? 1. 프로세스 (Process)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프로세스 제어블록(PCB)을 가진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다.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이며,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곳이다.2. 스레드 (Thread)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이다.하나의 프로세스는 최소 하나 이상의 스레드를 가지며, 스레드는 경량 프로세스라고 불린다.각 스레드는 독립된 스택 영역을 가지지만, 부모 프로세스의 코드, 데이터, 힙 영역을 공유한다.3. 메모리상의 프로세스 영역프로세스 영역설명코드 영역-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는 공간- 함수, 제어문, 상수 등이 포함데이터 영역- 전역 변수와 정적 변수가 할당되는 공간- 프로그램 종료 시 메모리에서 소멸스택 영역- 지역 변수와 함수 매개 변수가 저.. 더보기
[운영체제][정보처리기사] 인터페이스 구현 인터페이스 시스템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장치 간에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돕는 시스템다양한 시스템과 장치 간의 호환성을 보장하며,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함인터페이스 시스템 구성구성설명송신 시스템연계할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형태로 송신하는 시스템수신 시스템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에 맞게 저장하고 활용하는 시스템중계 서버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역할  인터페이스 설계서 구성인터페이스 목록: 연계 업무와 연계에 참여하는 송수신 시스템의 저옵, 연계 방식과 통신 유형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정의서: 데이터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의 속성, 제약조건 등을 상세히 기술한다. 인터페이스 검증인.. 더보기

728x90